맨위로가기

앙리 드 레니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리 드 레니에는 프랑스의 시인, 소설가, 문학 비평가로, 1864년 옹플뢰르에서 태어나 1936년 사망했다. 법학을 공부했으나 문학에 전념하여 파르나스파 시인으로 시작, 상징주의 잡지에 시를 기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고전적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스테판 말라르메의 영향을 받아 애매모호한 스타일을 보였으며, 소설과 콩트 작품도 다수 집필했다. 문학 비평가로 활동하며, 파리 상류 사회의 살롱에 출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징주의 시인 - 샤를 보들레르
    샤를 보들레르는 1821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시인, 평론가, 번역가로, 시집 『악의 꽃』을 통해 퇴폐적인 시대를 상징했으며, 상징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19세기 낭만주의 시에 영향을 미쳤다.
  • 상징주의 시인 - 폴 베를렌
    폴 베를렌은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상징주의 시인으로, 격정적이고 방탕한 삶과 아르튀르 랭보와의 관계로 유명하며, 독특한 시적 기법과 음악적인 시어로 상징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여러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준 '저주받은 시인'이다.
  • 레지옹 도뇌르 그랑도피시에 훈장 수훈자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 레지옹 도뇌르 그랑도피시에 훈장 수훈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1864년 출생 -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법학자로서, 종교사회학, 정치 체제 등을 연구하고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을 분석했으며, 권위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회과학 연구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을 강조했다.
  • 1864년 출생 - 이승훈 (1864년)
    이승훈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업인으로,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신민회 활동, 3·1 운동 참여 등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다.
앙리 드 레니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앙리 드 레니에 초상, 1917년. 뫼리스 촬영.
앙리 드 레니에 초상, 1917년. 뫼리스 촬영.
원어 이름Henri François Joseph de Régnier
출생일1864년 12월 28일
출생지옹플뢰르
사망일1936년 5월 23일
사망지파리
묘소페르 라셰즈 묘지
페르 라셰즈 묘지에 있는 레니에의 묘비
앙리 드 레니에의 서명
사조상징주의
수상레지옹 도뇌르 훈장
모교스타니슬라스 중등학교
직업작가, 시인
배우자마리 드 에르디아

2. 생애

앙리 드 레니에는 노르망디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스타니슬라스 중등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다. 외교관을 꿈꾸며 법학을 공부했지만, 곧 문학에 깊이 빠져들었다. 1885년부터 프랑스와 벨기에의 상징주의 잡지에 시를 기고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 6월 15일 잡지 <뤼테스>[3]와 <르 스카팽>[4]에 자신의 첫 시를 발표했다.

젊은 시절 스테판 말라르메가 주도하던 '화요회'에 정기적으로 참석하며[4] 말라르메를 존경했던 레니에는, 초기에는 르콩트 드 릴[3]과 조세마리아 드 에르디아의 영향을 받았다. 1895년[5]에는 제라르 두빌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한 시인 마리와 결혼했지만, 행복하지 않았다.

그는 첫 시집 《옛날 낭만시》(1889)로 명성을 얻었으며, 《Tel qu’en songe》(1892), 《Aréthuse》(1895) 등 다수의 시집을 발표했다. 그의 시는 고답파상징주의의 경계에 있으며, 장 모레아, 귀스타프 칸 등의 영향을 보여준다. 소설과 콩트(Contes à soi même, 1893)도 집필했는데, 가장 유명한 작품은 《La Double maîtresse》(1900)이다.

1908년 <주르날 데 데바>에서[8] 시 비평을 시작으로, 1919년부터 1936년까지[9] <피가로>의 문예란을 담당했다.[10] 마그데부르가에 거주할 당시[13] 파리 상류 사회의 살롱에 출입하며, 피츠제임스 백작부인[14], 보니에르, 마들렌 르메르[15] 등의 살롱에 자주 드나들었다. 1936년 사망 후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16]

2. 1. 출생과 가문

앙리 드 레니에, 1895년 4월호 『더 북맨』에 게재된 모습


앙리 드 레니에는 1864년 12월 28일 옹플뢰르(칼바도스)의 노르망디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1] 스타니슬라스 중등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파리에서 법학을 공부했다.[1]

2. 2. 학업과 초기 문학 활동

노르망디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앙리 드 레니에는 스타니슬라스 중등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다. 외교관이 되고자 법학 공부를 마친 이후, 레니에는 급격히 문학에 빠져들었다.[1] 1885년부터 프랑스와 벨기에의 상징주의 잡지에 시를 기고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6월 15일 <뤼테스>[3]와 <르 스카팽>[4]에 자신의 첫 번째 시를 게재했다.

젊은 시절 스테판 말라르메가 주도하던 모임인 “화요회”에 주기적으로 참석하며[4] 말라르메를 찬미하던 레니에는, 처음에는 르콩트 드 릴[3] 조세마리아 드 에르디아에게서 영향을 받았다.[1] 1895년[5] 제라르 두빌이라는 필명을 쓴 시인 마리와 결혼했으나, 이 결혼은 행복하지 않았다.

2. 3. 결혼과 개인사

조세마리아 드 에르디아의 영향을 받은 앙리 드 레니에는 1895년[5] 그의 딸 마리와 결혼한다. 마리는 제라르 두빌이라는 필명을 쓴 시인이었다.[1] 허나 이 결혼은 행복하지 않았다. 1897년 말부터, 마리는 자신의 절친이자 시인 겸 소설가인 피에르 루이스와 거의 안정적인 관계를 맺었다. 피에르 루이스의 전기 작가 장폴 구종에 따르면, 그 당시 마리가 임신하여 1898년 9월 8일 태어난 피에르 드 레니에(통명 티그르)는 바로 피에르 루이스의 자식이었으며, 루이스는 이 아이의 대부가 되었다.[6]

2. 4. 문학적 경향

스테판 말라르메가 주도하던 모임인 “화요회”에 젊은 시절부터 주기적으로 참석하며[4] 말라르메를 찬미하던 앙리 드 레니에는, 처음엔 르콩트 드 릴에게서 영향을 받았고,[3] 특히 조세마리아 드 에르디아의 영향을 받았다.[1] 1895년[5] 그의 딸이자 제라르 두빌이라는 필명을 쓴 시인 마리와 결혼하기도 했다.

레니에는 자신의 첫 선집 <옛날 낭만시(Poèmes anciens et romanesques)>(1889)으로 유명세를 얻었다. <Tel qu’en songe>(1892), <Aréthuse>(1895), <Les Jeux rustiques et divins>(1897), <Les Médailles d’argile>(1900), <La Cité des eaux>(1902), <La Sandale ailée>(1905), <Le Miroir des heures>(1910) 등의 수많은 시집은 고전적 이상에 충실히 머물러 있으며 형식상에서는 더 자유롭고, 베를렌과 발레리 사이에 위치하여 고답파상징주의의 접점에 있다. 레니에의 시는 장 모레아, 귀스타프 칸과 스테판 말라르메로부터, 특히 장인 조세마리아 드 에르디아에게서 시인 자신이 받은 영향을 보여준다.[1]

레니에는 콩트(Contes à soi même(1893))와 소설을 몇 작 저술하기도 했다. 레니에의 가장 유명한 작품, <La Double maîtresse>(1900)은 시대를 앞서간 프로이트적 소설이다. 앙리 드 레니에는 18세기를 특히 좋아하며 그 시절 속에서 작품의 주제를 골랐으며, 가끔은 외설적인 주제를 고르기도 하며, 18세기 풍 문체를 모방하기도 했다.[7]

2. 5. 문학 비평 활동

앙리 드 레니에는 1908년 <주르날 데 데바>에서[8] 시평 담당으로 첫 발을 내딛었고, 1919년부터 1936년까지[9] <피가로>의 문예란을 맡았다.[10] 레니에는 화가 앙리 파르주[11]와 앙토니오 드 라 강다라의 절친으로, 잡지에서 그들을 “상냥한 휘슬러적 판화가”라고 칭했다.[12]

2. 6. 사회 활동

마그데부르가에 거주할 무렵[13], 레니에는 파리 상류 사회의 살롱에 다녔는데, 특히 피츠제임스 백작부인의 살롱[14], 보니에르의 살롱이나 마들렌 르메르의 살롱[15]에 자주 드나들었다.

앙리 드 레니에의 묘 (페르 라셰즈 묘지, 86구획)


앙리 드 레니에는 페르 라셰즈 묘지에 묻혔다.[16]

2. 7. 사망

Henri de Régnier프랑스어는 1936년 7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파리의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1] 그의 묘는 86구획에 있다.[16]

3. 작품 세계

앙리 드 레니에는 시, 소설, 산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했다.

제목장르출판 연도비고
Lendemains1885
Apaisement1886
Sites1887
Épisodes1888
Poèmes anciens et romanesques18901887-1889년 작품
Épisodes, Sites et Sonnets1891
'Tel quen songe''1892
Contes à soi-même산문1894
Le Bosquet de Psyché산문1894
Le Trèfle noir산문1895
Aréthuse1895
Poèmes, 1887-18921895'Poèmes anciens et romanesques, Tel quen songe''
Les Jeux rustiques et divins1897Aréthuse, Les Roseaux de la flûte, Inscriptions pour les Treize Portes de la Ville, La Corbeille des Heures, Poèmes divers
La Canne de Jaspe단편 소설1897'M. dAmercœur, Le Trèfle noir, Contes à soi-même''
Premiers poèmes1899Les Lendemains, Apaisement, Sites, Episodes, Sonnets, Poésies diverses
Le Trèfle blanc산문1899
La Double Maîtresse소설1900
'Les Médailles dArgile''1900
Les Amants singuliers소설1901
Figures et caractères산문1901
Le Bon Plaisir소설1902
La Cité des eaux1902
'Les Vacances dun jeune homme sage''소설1903
Le Mariage de minuit소설1903
Les Rencontres de M. de Bréot소설1904
Le Passé vivant소설1905
La Sandale ailée, 1903-19051906
Moi, Elle et Lui소설1906
'LAmour et le Plaisir''소설1906
Esquisses vénitiennes산문1906
Sujets et paysages산문1906
'La Peur de lamour''소설1907
'Lencrier rouge''1907Pierre Vignal 삽화, L'Illustration
Couleur du temps소설1909
La Flambée소설1909
Le Miroir des heures1910
'Contes de France et dItalie''1912
'LAmphisbène''소설1912
Portraits et souvenirs산문1913
Le Plateau de laque1913
Romaine Mirmault소설1914
'LIllusion héroïque de Tito Bassi''소설1916
1914-1916, poésies1918
Histoires incertaines소설1919
La Pécheresse1920
Vestigia flammae1921
Les Bonheurs perdus1924
'Le Divertissement provincial. Lentrevue. Proses datées. Baudelaire et les Fleurs du mal''1925
Paray-le-Monial1926
Contes pour chacun de nous1926
'LEscapade''1926
'Monsieur dArmercœur''1927
Le Miracle du fil1927
Le Pavillon fermé1927
Contes vénitiens1927
'LAltana ou la vie vénitienne (1899-1924)''19282권
Flamma tenax, 1922-19281928
'Lui, ou les Femmes et lAmour''1928
Le Vrai Bonheur ou les amants de Stresa1929
'Le Voyage damour ou lnitiation vénitienne1930
Nos Rencontres. Escales en Méditerranée1930
Choix de poèmes1931
'Airs pour lécho''1933
'Lettres diverses et curieuses, écrites par plusieurs à lun dntre eux1933
De mon temps1933
Histoire des décorations françaises1933A. Anchel, P.-F. Caillé와 공저, Auguste Leroux의 정면 삽화
Le Paradis retrouvé, contes choisis1937사후 출판
Images vénitiennes
'Réveil dété''


3. 1. 시

앙리 드 레니에는 1885년에 파리의 평론지에 기고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시는 상징주의 작가를 옹호하는 대부분의 프랑스 및 벨기에 정기간행물에 게재되었다.[1] 그는 파르나스파 시인으로 시작하여 고전적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장 모레아스와 구스타브 칸의 몇 가지 혁신을 받아들였다. 그의 애매모호한 암시적 스타일은 그가 헌신적인 제자였던 스테판 말라르메의 영향을 보여준다.[1]

그의 첫 번째 시집인 『다음 날』은 1885년에 출판되었으며, 이후 『고대와 낭만적인 시』(1890), 『시골과 신성한 놀이』(1890), 『점토 메달』(1900), 『물의 도시』(1903) 등 수많은 시집이 출판되었다.[1]

3. 2. 소설

앙리 드 레니에는 사실주의 소설과 단편 소설을 썼다. 주요 작품으로는 『재스퍼 지팡이』(1897), 『두 번째 정부』(1900), 『현명한 젊은이의 휴가』(1903), 『독특한 연인들』(1905) 등이 있다.[1] 1919년작 『불확실한 이야기』는 2012년 브라이언 스테이블포드에 의해 『거울의 과잉』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1]

3. 3. 기타


  • 모리스 라벨의 왈츠 ''고상하고 감상적인 왈츠'' 판본에는 드 레니에의 인용구 "…쓸모없는 일의 즐겁고 언제나 새로운 기쁨"이 함께 실려 출판되었다.
  • 캡콤의 2012년 비디오 게임 ''드래곤즈 도그마'' 도입부 컷신에는 le plaisir délicieux... d'une occupation inutile프랑스어 (자막 번역: "쓸모없는 일의 즐겁고 언제나 새로운 기쁨.")라는 인용구가 등장하며, 이는 드 레니에의 것으로 표기되었다.

4. 작품 목록


  • Lendemains프랑스어, 시집, 파리, Vanier, 1885.
  • Apaisement프랑스어, 시집, 파리, Vanier, 1886.
  • Sites프랑스어, 시집, 파리, Vanier, 1887.
  • Épisodes프랑스어, 시집, 파리, Vanier, 1888.
  • Poèmes anciens et romanesques프랑스어, 1887-1889, 파리, Librairie de l'Art Indépendant, 1890.
  • Épisodes, Sites et Sonnets프랑스어, 시집, 파리, Vanier, 1891.
  • Tel qu'en songe프랑스어, 시집, 파리, Librairie de l'Art Indépendant, 1892.
  • Contes à soi-même프랑스어, 산문, 파리, Librairie de l'Art Indépendant, 1894.
  • Le Bosquet de Psyché프랑스어, 산문, 브뤼셀, Lacomblez, 1894.
  • Le Trèfle noir프랑스어, 산문, 파리, Soc. du Mercure de France, 1895.
  • Aréthuse프랑스어, 시집, 파리, Librairie de l'Art Indépendant, 1895.
  • Poèmes, 1887-1892프랑스어 (Poèmes anciens et romanesques. Tel qu'en songe프랑스어), 파리, Soc. du Mercure de France, 1895.
  • Les Jeux rustiques et divins프랑스어 (Aréthuse. Les Roseaux de la flûte. Inscriptions pour les Treize Portes de la Ville. La Corbeille des Heures. Poèmes divers프랑스어), 파리, Soc. du Mercure de France, 1897.
  • La Canne de Jaspe프랑스어 (M. d'Amercœur. Le Trèfle noir. Contes à soi-même프랑스어), 콩트, 파리, Soc. du Mercure de France, 1897.
  • Premiers poèmes프랑스어 (Les Lendemains. Apaisement. Sites. Episodes. Sonnets. Poésies diverses프랑스어), 파리, Soc. du Mercure de France, 1899.
  • Le Trèfle blanc프랑스어, 산문, 파리, Soc. du Mercure de France, 1899.
  • La Double Maîtresse프랑스어, 소설, 파리, Soc. du Mercure de France, 1900.
  • Les Médailles d'Argile프랑스어, 시집, 파리, Soc. du Mercure de France, 1900.
  • Les Amants singuliers프랑스어, 1901.
  • Figures et caractères프랑스어, 1901.
  • Le Bon Plaisir프랑스어, 1902.
  • La Cité des eaux프랑스어 (시), 1902.
  • Les Vacances d'un jeune homme sage프랑스어 (소설), 1903.
  • Le Mariage de minuit프랑스어, 1903.
  • Les Rencontres de M. de Bréot프랑스어, 1904.
  • Le Passé vivant프랑스어 (소설), 1905.
  • La Sandale ailée, 1903-1905프랑스어 (시), 1906.
  • Moi, Elle et Lui프랑스어 (Mercure de France, 1906년 1월).
  • L'Amour et le Plaisir프랑스어, 1906.
  • Esquisses vénitiennes프랑스어, 1906.
  • Sujets et paysages프랑스어, 1906.
  • La Peur de l'amour프랑스어, 1907.
  • L'encrier rouge프랑스어, Pierre Vignal 삽화, ''L'Illustration'', 1907년 12월, 11-17쪽.
  • Couleur du temps프랑스어, 1909.
  • La Flambée프랑스어, 1909.
  • Le Miroir des heures프랑스어 (시), 1910.
  • Contes de France et d'Italie프랑스어, 1912.
  • L'Amphisbène프랑스어 (소설), 1912.
  • Portraits et souvenirs프랑스어, 1913.
  • Le Plateau de laque프랑스어, 1913.
  • Romaine Mirmault프랑스어 (소설), 1914.
  • L'Illusion héroïque de Tito Bassi프랑스어 (소설), 1916.
  • 1914-1916, poésies프랑스어, 1918.
  • Histoires incertaines프랑스어, 1919.
  • La Pécheresse프랑스어 (사랑 이야기), 1920.
  • Vestigia flammae프랑스어 (시), 1921.
  • Les Bonheurs perdus프랑스어, 1924.
  • Le Divertissement provincial. L'entrevue. Proses datées. Baudelaire et les Fleurs du mal프랑스어, 1925.
  • Paray-le-Monial프랑스어, 1926.
  • Contes pour chacun de nous프랑스어, 1926.
  • L'Escapade프랑스어, 1926.
  • Monsieur d'Armercœur프랑스어, 1927.
  • Le Miracle du fil프랑스어 (소네트), 1927.
  • Le Pavillon fermé프랑스어, 1927.
  • Contes vénitiens프랑스어, 1927.
  • L'Altana ou la vie vénitienne (1899-1924)프랑스어, 2권, 1928.
  • Flamma tenax, 1922-1928프랑스어, 시집, 1928.
  • Lui, ou les Femmes et l'Amour프랑스어, 1928.
  • Le Vrai Bonheur ou les amants de Stresa프랑스어, 1929.
  • Le Voyage d'amour ou l'initiation vénitienne프랑스어, 1930.
  • Nos Rencontres. Escales en Méditerranée프랑스어, 1930.
  • Choix de poèmes프랑스어, 1931.
  • Airs pour l'écho프랑스어 (시), 1933.
  • Lettres diverses et curieuses, écrites par plusieurs à l'un d'entre eux프랑스어, 1933.
  • De mon temps프랑스어, 1933.
  • Histoire des décorations françaises프랑스어, 앙리 드 레니에 감수 및 서문, A. Anchel 및 P.-F. Caillé 공저, 파리, Javal et Bourdeaux, Auguste Leroux 정면 삽화, 1933.
  • Le Paradis retrouvé, contes choisis프랑스어 (사후 출간), 1937.
  • Images vénitiennes프랑스어 (미상).
  • Réveil d'été프랑스어.
  • L’égoïste est celui qui ne pense pas à moi프랑스어, Bernard Quiriny, 파리, Garnier-Flammarion, 2015.

5. 영향

(주어진 결과물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EB1911
[2] 서적 Le Visage de l'Italie, publié sous la direction littéraire de Gabriel Faure. Préface de Benito Mussolini. - Paul Bourget, Henri de Régnier, Henry Bordeaux, Georges Goyau, Pierre de Nolhac, de l'Académie française ; Gérard d'Houville et Marcelle Vioux, Marcel Boulenger, Gabriel Faure, Paul Guiton, Ernest Lémonon, Eugène Marsan, Maurice Mignon, Ed. Schneider, J.-L. Vaudoyer.
[3] 서적 Henri de Régnier https://books.google[...] Fayard
[4] 서적 Monsieur Spleen https://books.google[...]
[5] 문서 Archives de Paris http://archives.pari[...]
[6] 서적 Dossier secret Pierre Louÿs-Marie de Régnier https://books.google[...] Christian Bourgois
[7] 서적 Henri de Régnier https://books.google[...] Fayard
[8] 서적 Monsieur Spleen https://books.google[...]
[9] 서적 L’Œuvre sans fin https://books.google[...] Droz
[10] 서적 Monsieur Spleen https://books.google[...]
[11] 서적 La Flamme et la Cendre https://books.google[...] Gallimard
[12] 서적 Correspondance générale https://books.google[...] L’Âge d’homme
[13] 웹인용 Discours de réception de Jacques de Lacretelle {{!}} Académie française http://www.academie-[...] 2018-05-31
[14] 서적 Pierre de Margerie (1861-1942) et la vie diplomatique de son temps https://books.google[...] Klincksiek
[15] 서적 Henri de Régnier https://books.google[...] Fayard
[16] 서적 Au Père-Lachaise https://books.google[...] Faya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